2001.08.11 02:56 Edit
|
|
|
(1) 임나일본부설 | ㅇ바다를 건너 조선으로 出兵 ..... 임나라는 ㅇ야마토 군세는 백제와 신라를 도와 고구려와.....싸웠다.
ㅇ임나로부터 철퇴하고, 반도정책에 실패한 야마토 조정 | ㅇ'임나일본부설'은 한국과 일본의 50여년간의 ㅇ명백한 오류 ㅇ상설적인 주둔을 전제로 한 내용으로 명백한 오류 |
| ㅇ고구려는 반도 남부의 신라 및 백제를 | ㅇ역사적 사실 오류 |
(3) 6세기 삼국 및
| ㅇ고구려가 쇠퇴하기 시작하고 지원국인 北魏도 落 | ㅇ근거없는 주장 ㅇ명백한 오류 |
(4) 삼국의 조공설 | ㅇ고구려가 돌연 야마토 조정에 접근 ...... 신라와 | ㅇ'일본서기'만을 근거로 한 기술 |
(5) 왜구 | ㅇ일본인외에 조선인도 많이 포함 ..... 대부분은 중국인 | ㅇ왜구의 발생원인에 대한 설명 누락 ㅇ'왜구=일본인'이라는 기존의 역사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해 왜구에 |
(6) 조선국호 | ㅇ고려를 무너뜨리고 이씨 조선을 건국 | ㅇ'조선'이라는 국호 대신 일제 강점기에 사용되었던 |
(7) 임진왜란
| ㅇ제목에 '조선 출병' ㅇ히데요시는 명을 정복 ..... ㅇ출병 결과 조선의 국토와 사람들의 생활은 현저히 황폐해졌다 | ㅇ침략을 '출병'으로 기술하여 일방적 침략사실 은폐 ㅇ임진왜란의 원인을 명나라 정복, 히데요시의 개인적 망상만으로
|
(8) 조선통신사 | ㅇ막부는 ..... 조선과의 국교를 ..... 회복 ㅇ장군이 바뀔 때마다 사절이 에도를 방문 | ㅇ이에야스의 국교회복 노력에 대한 설명없이 사실만을 ㅇ통신사의 파견목적, 초빙이유 등을 설명하지 않고, 일본장군 습직(襲職) ㅇ조선에서 부산 왜관을 설치해준 사실을 은폐하고, 일본이 외국땅에 |
(9) 조선의 서구
| ㅇ구미열강의 무력위협을 ㅇ중국의 복속국이었던 | ㅇ구미의 무력위협에 대한 조선의 대응을 일본의 방식과 ㅇ조선을 중국의 '복속국'으로 표현한 것은 삭제 필요 |
(10)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
| ㅇ조선과 베트남은 완전히 그 내부에 들어가 중국 역대왕조에
| ㅇ전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왜곡한 기술 ㅇ조선과 대비하여 일본은 '자주독립국'이었던 것처럼 기술하고 있으나, |
(11) 일본=무가사회,
| ㅇ중국.조선 양국은 문관이 지배하는 국가였으므로 | ㅇ논리적인 근거없이 武家사회인 일본이 文官사회인 |
(12) 정한론
| ㅇ1873년, 개국 권유를 거절한 조선의 태도가 무례하다고
| ㅇ조선의 조약체결 거부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, 일본입장에서 ㅇ조선이 사이고를 살해할 가능성이 있었던 것처럼 가정 |
(13) 강화도 사건
| ㅇ일본군함이 조선의 강화도에서 측량하는 등 시위행동을 | ㅇ조선의 발포를 유도한 계획적인 군사작전이었다는 |
(14) 한반도 위협설
| ㅇ일본을 향하여 대륙에서 한개의 팔뚝이 돌출 ㅇ조선반도가 일본에 적대적인 국가의 지배하에 들어가면 일본을 | ㅇ한반도 위협설을 강조하여 일본 방위 명목으로 한국 |
(15) 일본정부의 조선중립화안 | ㅇ일본 정부 가운데는 ..... | ㅇ일본 정부 일각에서 잠깐 거론되었던 것을 일본의 ㅇ일본의 군비증강이 조선강점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음을 은폐하고, |
(16) 조선의 근대화와 일본과의 관계 | ㅇ조선의 개국 후, 그 근대화를 돕기 위해 군제개혁을 | ㅇ조선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을 부식하려 했던 목적을 |
(17) 조선을 둘러싼 | ㅇ청은 최후의 유력한 조공국인 조선만은 잃지 않으려고, ㅇ1884년 ..... 김옥균 등의 | ㅇ조선을 둘러싼 청과 일본의 대립을 일면적으로 설명하고, ㅇ김옥균 등의 개화파를 친일파로 기술 |
(18)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 | ㅇ동학의 난 (갑오농민전쟁)이라고 불리우는 농민폭동 ㅇ(동학농민군의 기세가) ㅇ일본도 갑신사변 후 청과의 합의에 따라 군대를 파견하였으며, | ㅇ반봉건.반외세 운동을 '동학의 난'이나 '폭동'이라고 ㅇ'한성에 육박한 것'이 아니라 전주성을 점령했을 뿐 ㅇ일본이 청일전쟁 유발 목적으로 계획적으로 파병한 사실을 은폐하고, |
(19) 러일전쟁 | ㅇ러시아는 ..... 조선 북부에 ㅇ러시아의 .... 극동에 있어서의 군사력은 일본이 감당할 수 없을 ㅇ일본은 한국(조선)의 지배권을 러시아에 인정받았고 ..... | ㅇ벌목장을 군사기지로 잘못 ㅇ일본이 먼저 시작한 전쟁을 러시아의 무력이 한반도를 장악하여
ㅇ한국의 지배권을 인정받으면서 억압받는 민족에게는 독립의 희망을 |
(20) 한국강제병합 | ㅇ일본 정부는 한국병합이 일본의 안정과 만주의 권익을 ㅇ한국 국내에서는, 일부에서 병합을 수용하자는 목소리도 있었으나 | ㅇ한국병합 과정에서의 침략 ㅇ의병투쟁과 안중근 의거 등 한국내 저항과 반발을 축소하면서, |
(21) 식민지 | ㅇ일본은 식민지화한 조선에 철도.관개시설을 정비하는 | ㅇ식민지 근대화론, 식민지 시혜론의 관점에서 '개발'이 |
(22) 관동대지진과 | ㅇ조선인 및 사회주의자 사이에 볼온한 책동이 있다는 | ㅇ관헌(군경)에 의한 살해사실 은폐 |
(23) 강제동원과 | ㅇ징용이나 징병 등은 식민지에서도 시행되어 ..... | ㅇ황민화정책의 내용이 불분명하고, 조선에서의 수탈상을 |
(24) 군대위안부 | [관련 내용 누락] | ㅇ일본군에 의해 자행된 가혹행위의 상징인 군대위안부 |
(25) 한국전쟁 | ㅇ맥아더가 지휘하는 미국군 주체의 국련군은 반격 ..... ㅇ종래의 국경선인 북위 38도선 부근에서 전황은 정체 | ㅇ유엔군과 중국·북한군의 전쟁으로 묘사함으로써 한국군의 ㅇ38선을 국경선으로 기술하여 오래전부터 38도선을 경계로 분단되어 |
(1) 고대 (東京書籍, 大阪書籍, 敎育出版, 日本書籍, 日本文敎出版, 淸水書院) | ㅇ한의 영향을 받아 ..... 조선반도 북부에서 소국을
| ㅇ고조선의 존재를 간과하고, 한반도의 첫 통일국가를 ㅇ연표상의 시기가 부정확 ㅇ한의 지배영역을 과장하여 한반도 전체가 한의 지배를 받은 것으로 |
(2) 임나일본부설 (東京書籍, 大阪書籍, 日本書籍, 淸水書院, 日本文敎出版, 帝國書院) | ㅇ6세기에 야마토국이 한반도에서 세력을 잃었다(약해졌다), | ㅇ허구의 임나일본부설에 근거하여 사실과 다르게 설명 |
(3) 왜구 (淸水書院, 帝國書院) | ㅇ무역에 종사하는 일본인을 중심으로 한 집단 ..... ㅇ왜구란 제주도와 북구주의 섬들을 거점으로 ㅇ일본인만이 아닌 조선인과 중국인 등도 섞여 합류 | ㅇ왜구의 해적행위를 주로 무역에 종사하다가 가끔 저지르는
ㅇ왜구에 조선인과 중국인을 포함, '왜구=일본인'이란 기존 역사인식을 |
(4) 임진왜란 (東京書籍, 大阪書籍, 敎育出版, 淸水書院, 帝國書院, | ㅇ조선이 (명을 공격하기 위한) 일본군의 통행허가를 ㅇ'군대를 보냈다', '바다를 | ㅇ전쟁발발의 책임을 조선측에 전가
|
(5) 정한론 (東京書籍, 敎育出版, 帝國書院, | ㅇ일본정부는 조선에 국교를 열 것을 요구했으나 조선이
| ㅇ조선의 거부가 기존의 선린외교관계를 무시한 채 국교회복을 ㅇ당시 조공관계를 설명하지 않고, 조선을 중국의 속국으로 표현 |
(6) 강화도사건 (帝國書院, 敎育出版) | ㅇ일본의 군대가 강화도에서 포격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
| ㅇ조선의 포격을 유도한 일본측의 저의를 은폐하고 강화도사건의 ㅇ'조일수호조규'의 '조선은 독립국'조항은 청을 견제하고자 한 것이었음을 |
(7) 동학농민운동 (大阪書籍, 淸水書院) | ㅇ동학을 믿는 농민들이 큰 반란을 일으켜
ㅇ청의 출병을 알게 된 일본은 군대를 보내 ..... 전쟁을 시작하였다 | ㅇ농민의 저항을 '반란'으로 표현, '항쟁'이나 '농민운동'이라는 ㅇ'조선지배'라는 표현은 일본이 당시 조선을 완전 장악하고 있었던 ㅇ왜군파병을 청병파병에 대한 단순 대응조치로 기술하여 일본의 |
(8) 한국강제병합 (日本文敎出版) | ㅇ안중근이 이토를 암살했다. 그래서 일본은 한국을 | ㅇ한국 강제병합의 원인을 |
(9) 황민화정책 (東京書籍,, | ㅇ지원한 조선의 젊은이들
| ㅇ지원병제도의 강제성을 은폐하고, 조선인의 자발적 ㅇ황민화정책의 구체적 기술 미흡, 신사참배 일본어교육 강요 등 |
(10) 군대위안부·강제징용 (東京書籍, 大阪書籍 敎育出版 | ㅇ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
| ㅇ일본군에 의해 자행된 가혹행위의 상징인 군대위안부 |
※ 인용 : 일본교과서바로잡기캠페인 (http://www.cht.or.kr)
Powered by Textyle
Design & UI Develop By The RaiN Story